전략&통계
공지
[씽굿통계] 요즘 기획공모전들 특징과 트렌드는?
2025.04.30
조회수 10405
2025 기획공모전, 어떻게 진행되고 있을까?
● ‘키워드와 통계’로 본 기획공모전 최신 트렌드
요즘 기획아이디어 공모전들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을까요? 씽굿사이트에 1월 1일부터 4월 28까지 등록된 공모전 900건 중 ‘기획아이디어 분야’는 총 288건이었습니다. 기획아이디어 분야 공모전의 핵심 키워드와 경향을 정리해 봅니다. 글_이동조 전문기자(공모전코칭 전문가)
◇ 기획공모전들의 핵심 키워드 살펴보니
기획분야 공모전의 주제와 형식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전문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기획아이디어 공모전 제목을 분석한 결과, 가장 두드러진 키워드는 단연 ‘아이디어’였습니다. 이는 공모전이 단순한 제안이 아닌 창의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요구한다는 점을 반영합니다.
기획분야에는 특히 ‘청년’, ‘청소년’, ‘대학생’이라는 단어들이 상위 키워드로 나타나면서, 이들 젊은 세대를 주요 참여자로 삼고 있다는 점도 확인됐습니다.
기획분야는 공공부문에서 매우 활발하다는 특징도 발견했습니다. ‘정책’, ‘규제개선’, ‘생활편의’와 같은 키워드가 많아 정부나 지자체가 시민들의 생활 속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찾는 추세였습니다. 동시에 ‘디자인’, ‘영상’, ‘포스터’, ‘슬로건’ 등 콘텐츠 관련 키워드도 다수 등장하여, 비주얼 기획 역량도 중요시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지역 활성화를 위한 아이디어 공모도 활발했습니다. ‘관광’, ‘도시’, ‘지역’, ‘문화’와 같은 키워드가 자주 등장하면서, 지역 특색을 살린 기획이 주목받고 있었습니다. 환경과 에너지 분야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 ‘기후’, ‘환경보호’ 등 지속가능성에 관한 관심이 기획아이디어 공모 주제로 이어지고 있었습니다.
더불어 ‘창업’, ‘스타트업’, ‘비즈니스’ 관련 키워드도 상당히 많아, 공모전이 단순 제안에 그치지 않고 실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데이터’, ‘AI’, ‘기술융합’ 등 인공지능과 4차 산업혁명 키워드도 기획분야 공모전에 포함되어, 과학기술 기반의 미래 기획도 공모전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처럼 2025년 기획공모전은 아이디어 중심의 창의력,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성, 기술과 예술의 융합, 그리고 지역과 환경에 관한 관심까지 복합적 역량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금 무엇을 기획할지 고민하는 이들에게, 키워드가 방향을 제시해줍니다.
◇ 주최사는 지방자치단체·중소기업이 ‘투톱’
최근 개최된 288개 기획공모전을 주최기관별로 분석한 결과, 가장 활발하게 공모전을 주최한 주체는 ‘지방자치단체’였습니다. 요즘 정부 기관이나 지자체 공모전이 가장 활발한데 기획아이디어 공모전도 공공기관이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어서 중소·벤처기업, 학교·재단·협회, 진흥원·공공기관, 중앙정부·기관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공모전은 주최기관의 목적과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기획되며, 주최기관의 유형에 따라 주제나 대상, 기대효과도 상이했습니다.
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활성화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모집하는 경우가 많고, 중소기업은 신사업 아이디어 발굴이나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목적으로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었습니다.
* 주최기관 유형별 상위 5위 통계 (중복응답 포함)
1. 지방자치단체 – 86건
2. 중소/벤처기업 – 74건
3. 학교/재단/협회 – 50건
4. 진흥원/공공기관 – 45건
5. 중앙정부/기관 – 33건
◇ 참가 자격은 누구나 참여, 대중성 높아
기획아이디어 분야는 대상 범위가 넓었습니다. 일반인과 대학생, 초중고 학생 모두를 아우르는 공모전이 많아 대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복응답임을 고려해, 참가자 가능 계층 총합 측면에서 살펴보면 초중고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 총비율로 78%였습니다. 이어 일반인 참여가 149회(약 70.0%)였고, 대학(원)생 참여는 124회(약 58.2%) 등으로 집계됐습니다.
‘지역 제한’ 있는 기획분야 공모전도 많았습니다. 이는 지자체가 많이 주최하는 특징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기획아이디어 분야 4분의 1 이상으로 전국 대상보다는 지역 거점 기반 운영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 참여 자격 유형별 상위 5위(중복응답 포함) 통계
1. 초·중·고 학생 – 166회
2. 일반인 – 149회
3. 대학(원)생 – 124회
4. 지역제한 있음 – 58회
5. 기타(기업 등) – 11회
◇ 시상 규모 1천만원 미만, 1억 이상도 3%
시상규모는 ‘1천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소규모 대회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총 상금이 1천만원 미만인 경우 주로 지역적, 학교 중심의 대회에서 주로 나타납습니다. ‘3천만원 미만~1천만원 이상’은 더 큰 규모의 경진대회일수록, 전국적으로 참여자가 많은 경우일수록 많았습니다.
‘1억 이상의 공모전’도 눈에 띄엇습니다. 이는 일부 대형 공모전이나 기업 주최의 경우, 상당히 큰 상금을 제공하는 대회가 주를 이루었으며, ‘1억 미만~5천만원 이상’은 중대형 대회로, 일정 규모 이상의 참여자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상금이 제공되었습니다.
* 시상규모별 상위 5위 통계
1. 1천만원 미만 – 202건
2. 3천만원 미만~1천만원 이상 – 43건
3. 1억 이상 – 9건
4. 1억 미만~5천만원 이상 – 6건
5. 기타 – 29건